• Research Article

    Flow noise prediction test and numerical validation for clothes dryer fan systems considering the effect of heat exchangers

    열교환기 영향을 고려한 의류건조기 팬 시스템의 유동 소음 예측 시험 및 해석 검증

    Wonick Choi, Jinho Choi, Cheolung Cheong

    최원익, 최진호, 정철웅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methodology for predicting the airflow and flow-induced noise of a clothes dryer fan system is proposed, with …

    본 연구는 열교환기의 영향을 고려하여 의류 건조기 팬 시스템의 유량 및 유동 소음을 예측할 수 있는 실험적 기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수치해석을 …

    + READ MORE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methodology for predicting the airflow and flow-induced noise of a clothes dryer fan system is proposed, with specific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of a heat exchanger. The feasibility of this method is valida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To achieve this, both a fan-scroll unit system and a module system incorporating a heat exchanger and duct geometry were constructed, and flow nois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nder operating conditions identical to the actual product.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n anechoic fan performance test apparatu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AMCA 210-16 and IEC 60704-2-6 standards,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oduct to assess agreement.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integrat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d Computational Aeroacoustics (CAA), and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was evaluated through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As a result, the module system, which includes the heat exchanger, demonstrated high consistency with the product in both flow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captured flow-induced noise differences across various fan geometries. Additionally, vortex shedding and turbulent energy concentration observed in the heat exchanger wak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broadband noise, clarifying key flow mechanisms behind broadband noise generation.


    본 연구는 열교환기의 영향을 고려하여 의류 건조기 팬 시스템의 유량 및 유동 소음을 예측할 수 있는 실험적 기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이론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팬과 스크롤로 구성된 단품 시스템과, 열교환기 및 유로 형상을 포함한 모듈 시스템을 각각 구축하고, 제품과 동일한 운전 조건에서 유동 소음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AMCA 210-16 및 IEC 60704-2-6 표준을 반영하여 설계된 무향 팬 성능시험기를 활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실제 제품과의 소음 특성 비교를 통해 시스템 정합도를 확인하였다. 전산 유체 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과 전산공력음향학(Computational AeroAcoustics, CAA)을 결합한 복합 수치해석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예측 방법의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열교환기를 포함한 모듈 시스템은 실제 제품과 유사한 유동 조건과 소음 스펙트럼을 재현하여 높은 정합도를 보였으며, 제안된 시험법은 팬 형상에 따른 유동 소음 특성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열교환기 후류에서 발생하는 볼텍스 셰딩과 난류 에너지 집중 현상이 광대역 소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광대역 소음 발생의 주요 유동 원인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Development of a high-performance and low-nois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plug fan through airfoil optimization

    익형 최적 설계를 통한 고성능 저소음 실외기 플러그 팬 개발

    Donggyu Yun, Cheolung Cheong

    윤동규, 정철웅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high-performance and low-noise plug fans in large-scale HVAC systems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performed an …

    최근 대형 냉방 및 공조 시스템에서 플러그 팬의 고성능화와 저소음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러그 팬 블레이드의 span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

    + READ MORE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high-performance and low-noise plug fans in large-scale HVAC systems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performed an optimal design considering the spanwise-varying three-dimensional geometry of plug fan blades. A fan performance tester was first constructed to experimentally determine the operating point. Subsequently, the validity of the numerical model based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using a Virtual Fan Performance Tester (VFPT), was verified by comparing its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data under identical conditions. The design optimization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the wrap angle and lean angle as design variables, based on a two-factor, three-level full factorial design. Subsequentl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applied to derive the optimal blade geometry with a focus on improving pressure performance. The optimization results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flow rate and efficiency, as well as a reduction in noise levels.


    최근 대형 냉방 및 공조 시스템에서 플러그 팬의 고성능화와 저소음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러그 팬 블레이드의 span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3차원 형상 특성을 반영하여 최적 설계를 수행하였다. 팬 성능 시험기를 구축하여 작동점을 도출하고, 동일 조건에서 수행한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기반 가상 팬 성능 시험기(Virtual Fan Performance Tester, VFPT) 해석 결과를 실험과 비교하여 수치해석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최적 설계는 감김각과 기울기각을 설계 변수로 선정하여 2인자 3수준 전수 실험(Full Factorial Design)과 반응표면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최적화 결과, 유량 및 효율 향상과 함께 소음 저감 효과도 확인되었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Phase shift beamformer with broadband frequency invariant null steering

    광대역 주파수 불변 널 조향을 갖는 위상 천이 빔 형성

    Kyung-won Lee, Ji-hyun Lee, Dan-bi Ou, Hyung-in Ra, Ki-man Kim

    이경원, 이지현, 오단비, 라형인, 김기만

    Null steering has been used primarily to improve the quality of a desired signal by minimizing or eliminating the effects of interfering …

    널 조향은 주로 간섭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여 원하는 신호의 품질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빔 패턴 내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득이 …

    + READ MORE
    Null steering has been used primarily to improve the quality of a desired signal by minimizing or eliminating the effects of interfering signals. These algorithms select array weights such that nulls of lower gain are formed in certain directions within the beam pattern. However, the null orientations introduce null width error depending on the frequency within the band. This phenomenon causes the problem that when the desired signal and the interfering signal are located close together, the desired signal is also suppressed when the interfering signal is suppressed.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compensate the null width and null steering errors in broadband through weight vector design. Simulation and sea tri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a constant null width in the frequency band of interest than the existing narrowband null steering algorithm.


    널 조향은 주로 간섭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여 원하는 신호의 품질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빔 패턴 내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득이 낮은 널이 형성되도록 배열 가중치를 선택한다. 그러나 널 방향은 대역 내의 주파수에 따라 널 폭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원하는 신호와 간섭 신호가 가깝게 위치할 때 간섭 신호 억제 시 원하는 신호도 억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논문은 가중치 벡터 설계를 통해 광대역에서의 널 폭 및 널 조향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과 해상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협대역 널 조향 알고리즘보다 관심 주파수 대역에서 널 폭이 일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Improvement of vibration transmission path and noise reduction of refrigerator water pump using Taguchi method

    다구찌 방법을 이용한 냉장고 급수펌프의 진동 전달경로 개선 및 소음 저감

    Woo-Jin Lee, Won-Jin Kim

    이우진, 김원진

    This study analyzes the pump noise generated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to the dispenser and ice maker in a non-plumbing refrigerator …

    무배관(Non-plumbing) 냉장고에서 디스펜서와 제빙기로의 급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펌프 소음을 분석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적용하였다. 펌프 작동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펌프 케이스 …

    + READ MORE
    This study analyzes the pump noise generated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to the dispenser and ice maker in a non-plumbing refrigerator and proposes effective noise reduction methods. The focus is on minimizing structural noise caused by pump-induced vibrations transmitted to the pump case, internal piping, and refrigerator walls. To establish standard experimental conditions, noise levels were measured based on three key variables: the amount of water in the supply tank, the torque of bolts securing the pump case to the refrigerator wall, and the torque of bolts securing the pump to the pump case. Under these standard conditions, critical experimental factor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thickness of anti-vibration tape between the pump case and refrigerator wall, the height of anti-vibration rubber on securing bolts, the height of the pump’s anti-vibration rubber, and the length of the water supply pipe. The Taguchi method was applied to optimize these factors. Through Taguchi analysis, the optimal conditions for minimizing noise levels were derived. These optimized conditions were then implemented in the refrigerator, and performance validation confirmed their effectiveness in noise reduction.


    무배관(Non-plumbing) 냉장고에서 디스펜서와 제빙기로의 급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펌프 소음을 분석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적용하였다. 펌프 작동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펌프 케이스 및 내부 배관, 냉장고 내벽에 전달되어 발생하는 구조 소음 저감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기준 실험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급수통 물의 양, 펌프 케이스와 냉장고 내벽 체결 볼트의 토크 값, 펌프와 펌프 케이스의체결 볼트의 토크, 세 가지 실험변수 수준에 따른 소음 레벨을 측정하였다. 기준 실험조건에서 펌프 케이스와 냉장고 내벽 사이의 방진 테이프 두께 및 체결 볼트 방진고무의 높이, 펌프 방진고무의 높이, 급수관의 길이를 실험인자로 선정하고, 다구찌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다구찌 기법의 분석을 이용하여 소음 레벨을 최소로 하는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적 조건을 냉장고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Salient chromagram extraction by using temporal smoothing and soft decision for cover song identification

    커버곡 검색을 위한 시간축 방향 평탄화 및 연판정을 이용한 강인한 크로마그램 추출

    Jin Soo Seo

    서진수

    Extracting a salient chromagram is crucial for cover song identification, where a cover refers to a live performance, remix, or re-recording of …

    커버곡 검색을 위해서는 강인한 크로마그램 추출이 중요하다. 라이브 녹음 또는 리메이크를 통한 재편집을 통해서 얻은 음악을 원곡의 커버곡이라 부른다. 본 논문은 전처리와 …

    + READ MORE
    Extracting a salient chromagram is crucial for cover song identification, where a cover refers to a live performance, remix, or re-recording of an original track. This paper enhances chromagram saliency through pre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techniques. Temporal smoothing is applied as preprocessing to reduce noise and fluctuations introduced during cover song generation, improving continuity and mitigating pitch estimation errors. Additionally, a soft decision of chroma activation is proposed as postprocessing to reliably determine pitch-class presence. Experimental results on two datasets demonstrate that the temporal smoothing and the soft decision improve cover song identification accuracy.


    커버곡 검색을 위해서는 강인한 크로마그램 추출이 중요하다. 라이브 녹음 또는 리메이크를 통한 재편집을 통해서 얻은 음악을 원곡의 커버곡이라 부른다. 본 논문은 전처리와 후처리를 통해 크로마그램의 강인성을 향상시킨다. 커버곡 생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와 변동을 줄여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피치 추정 오류를 완화하기 위해 전처리로 시간축 방향 평탄화를 적용한다. 또한, 후처리 단계에서 크로마 활성화 연판정을 통해서 음고류 존재 여부를 신뢰성 있게 판별한다. 두 가지 음악 데이터셋에서 커버곡 검색 실험을 수행하여 시간축 방향 평탄화와 연판정이 커버곡 검색 성능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Underwater target scattering model with multipath effects

    다중 경로를 고려한 수중 표적 산란 모델

    Keunhwa Lee

    이근화

    The detection of underwater target has been advanced towards fully utilizing the coherence of signal.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target …

    수중 표적 탐지는 신호의 코히런스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도파관과 수중 표적간의 연성 효과를 고려한 표적 산란 모델을 …

    + READ MORE
    The detection of underwater target has been advanced towards fully utilizing the coherence of signal.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target scattering model that considers the coupling between the target scattering and propagation in the ocean waveguide. The proposed target scattering model is derived using the waveguide Green’s function method a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n integral equation. By applying the physical optics theory into this integral equation, the explicit form for the scattered pressure can be obtained, and the final expression is represented as a set of ray or normal mode pairs using the waveguide Green’s function. This scattering model will be useful for more realistically simulating the target scattering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


    수중 표적 탐지는 신호의 코히런스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도파관과 수중 표적간의 연성 효과를 고려한 표적 산란 모델을 소개한다. 일반화 된 표적 산란 모델은 Waveguide Green 함수법을 이용해 얻어지며 적분 방정식의 형태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표적에 물리광학 이론을 적용하여 적분 방정식을 대수 방정식으로 간략화했다. 이때 음선 또는 정상 모드법으로 얻어진 Green 함수를 적용하면 최종 식은 음선 또는 정상 모드 쌍의 집합으로 표현된다. 본 산란 모델은 수중도파관에서 표적 산란을 보다 실제적으로 모의하는데 유용하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Fluctuation of arrival angle of mid-frequency acoustic propagation affected by sea ice measured using vertical line array at medium range in the Arctic Ocean during KAMAS-24

    북극해 음향실험(KAMAS-24)에서 수직선배열센서를 이용하여 중거리에서 측정한 해빙의 영향을 받은 중주파수 음파전달신호의 도달각 변동

    Joung-Soo Park, Su-Uk Son, Jungyong Park, Dae Hyeok Lee, Woo Shik Kim, Ho-Seuk Bae, Hansoo Kim, Young Geul Yoon, Sungho Cho, Donhyug Kang, Wuju Son

    박정수, 손수욱, 박중용, 이대혁, 김우식, 배호석, 김한수, 윤영글, 조성호, 강돈혁, 손우주

    Korea Acoustic Measurement in the Arctic Sea in 2024 (KAMA-24), an acoustic measurement,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coustic propagation …

    북극해에서 해빙의 영향에 의한 음파전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인 Korea Acoustic Measurement in the Arctic Sea in 2024(KAMA-24)을 수행하였다. KAMAS-24는 2024년 8월에 …

    + READ MORE
    Korea Acoustic Measurement in the Arctic Sea in 2024 (KAMA-24), an acoustic measurement,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coustic propagation by the influence of sea ice in the Arctic Ocean. KAMAS-24 was conducted in August 2024 near the Chukchi Sea and the East Siberian Sea in the Arctic Ocean. In this experiment, the acoustic transmission loss was measured in the area covered by sea ice. First, we analyzed acoustic transmission loss by the frequencies and the depth of the acoustic source. Next, we estimated arrival angle fluctuation from beam angle measured using mid-frequency transmitter and vertical line array at medium distances. The fluctuation of arrival angle caused by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source and the receiver at medium range was large in the Refracted Surface-Reflected (RSR) paths strongly affected by sea ice and relatively small in the Refracted Bottom-Reflected (RBR) paths weakly affected by sea ice.


    북극해에서 해빙의 영향에 의한 음파전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인 Korea Acoustic Measurement in the Arctic Sea in 2024(KAMA-24)을 수행하였다. KAMAS-24는 2024년 8월에 북극해의 축치해와 동시베리아해 해역에서 수행되었고, 이 실험에서 해빙 해역의 음파전달손실을 측정하였다. 먼저, 중거리에서 중주파수 음원과 수직선배열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음파전달손실을 계산하고 송신 주파수와 음원의 심도별로 음파전달손실의 차이를 분석했다. 다음으로, 빔출력의 빔각으로부터 추적한 도달각의 변동을 분석하였으며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가 달라지면서 발생한 도달각의 변동은 해빙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Refracted Surface-Reflected(RSR) 경로에서 크고 해빙의 영향을 약하게 받은 Refracted Bottom-Reflected(RBR) 경로에서는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중거리에서는 특이한 구조를 갖는 해빙 하부에 음파가 반사되면서 해빙의 거칠기 영향을 받은 도달각의 변동폭이 크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Impedance matching circuit design for maximum power transfer in Janus Helmholtz transducers

    야누스 헬름홀츠 트랜스듀서의 최대 전력 전달을 위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 설계

    Yoonsang Jeong, Kibae Lee, Hyun Hee Yim, Chong Hyun Lee

    정윤상, 이기배, 임현희, 이종현

    The Janus Helmholtz transducer (JHT) is recognized for its high Transmitting Voltage Response (TVR) across a broad frequency range, owing to its …

    야누스 헬름홀츠 트랜스듀서(Janus Helmholtz transducer, JHT)는 이중 공진 특성으로 인해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송신 전압 응답(Transmitting Voltage Response, TVR)을 제공한다. JHT에서 …

    + READ MORE
    The Janus Helmholtz transducer (JHT) is recognized for its high Transmitting Voltage Response (TVR) across a broad frequency range, owing to its dual-resonance characteristics. Achieving optimal power transmission with the JHT typically necessitates an impedance matching circuit. However, conventional impedance matching circuits have limitations in efficiently operating over non-resonant frequency bands with relatively low TVR characteristics and in maximizing active power delivered to the loa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impedance matching circuit design approach aimed at maximizing the active power transfer of non-resonant frequency bands. The proposed approach employs an objective function that maximizes effective load power in the non-resonant band, while accounting for the transducer’s transmitting characteristic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was validated through simulations employing an equivalent circuit model that includes both the cable and the JHT, along with a compact matching circuit comprising resonant components and a coupling capacitor.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atching circuit increased the effective power delivered to the load from 0.43 mW to 2.13 mW under a 1 Vrms input voltage representing an improvement of up to 4.95 times. In addition, the minimum TVR within the target band improved by more than 5 dB, while the TVR deviation was reduced by over 7 dB.


    야누스 헬름홀츠 트랜스듀서(Janus Helmholtz transducer, JHT)는 이중 공진 특성으로 인해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송신 전압 응답(Transmitting Voltage Response, TVR)을 제공한다. JHT에서 최대 전력 전달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임피던스 정합 회로 설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정합 회로 설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TVR특성을 가지는 비공진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정합하지 못하고 부하에 대한 최대 유효 전력 전달에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비공진 대역의 실효 전력 전달을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임피던스 정합 회로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트랜스듀서의 송신 특성을 고려하여 비공진 대역에서 실효 부하 전력을 최대화하는 목적 함수를 기반으로 한다.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케이블과 JHT의 등가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공진 소자와 결합 커패시터로 구성된 소형 정합 회로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매칭회로 적용 시 1 Vrms 입력 전압에서 부하에 전달되는 유효 전력이 0.43 mW에서 2.13 mW로 최대 4.95배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대역 내 최소 TVR 성능이 5 dB 이상 증가하고 TVR 편차가 7 dB 이상 감소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A study on spreading factor selection criteria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o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s

    수중 통신 환경에서 코드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위한 확산 요소 선택 기준 연구

    Ye-gwon Hong, Ji-won Jung, Jun-ho Kim, Byoung-sun Ahn

    홍예권, 정지원, 김준호, 안병선

    In time variant underwater environments, application of various adaptive methods are essential in order to enhance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rate simultaneously. In …

    시변하는 수중 환경에서 다중 경로로 인한 지연 확산을 극복하고 성능과 정보 전송률을 동시에 향상 시키기 위한 다양한 적응적 기법 적용이 매우 필수적이다. …

    + READ MORE
    In time variant underwater environments, application of various adaptive methods are essential in order to enhance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rate simultaneously.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ethod, which overcome selective frequence fading induced by delay spreading, its performance and information rate are different according to Spreading Factor (SF) which denotes amount of bandwidth expansion. Therefore, we propose adaptive SF mod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criteria for selecting optimal SF. Using Pilot symbols known as transceiver, estimated Pilot Signal to Noise Ratio (PSNR) and Pilot-Bit Error Rate (P-BER) are employed as COI criteria, and we establish an optimal CQI criteria by varying underwater channel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s that successive transmission rate of the proposed adaptive SF mode improved about 15 % ~ 45 %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fixed SF mode.


    시변하는 수중 환경에서 다중 경로로 인한 지연 확산을 극복하고 성능과 정보 전송률을 동시에 향상 시키기 위한 다양한 적응적 기법 적용이 매우 필수적이다. 지연 확산으로 인한 선택적 주파수 페이딩을 극복할 수 있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은 정보 비트를 확산시키는 Spreading Factor(SF)의 길이에 따라 성능과 정보 전송률이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수중 채널 환경에 따라 CDMA 전송 기법에서 최적의 SF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인 Channel Quality Indicator(CQI) 기반의 적응형 SF 모드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적용된 CQI는 송수신자가 서로 알고 있는 파일럿 정보를 이용하여 Pilot Signal to Noise Ratio(PSNR)과 Pilot Bit Error Rate(P-BER) 추정치를 이용하였으며, 이의 기준을 설정하여 시변 수중 채널에 적응적으로 SF를 변화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고정된 SF를 갖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약 15 % ~ 45 %의 정보 전송률 향상을 나타내는 것을 모의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Doppler shift frequency estimation using single chirp and continuous wave replica

    단일 처프와 continuous wave 리플리카를 이용한 도플러 천이 주파수 추정

    Dan-bi Ou, Ki-man Kim, Jun-ho Kim, Byoung-sun Ahn

    오단비, 김기만, 김준호, 안병선

    Doppler estimation in underwater environments is essential for analyzing channel characteristics and enhancing communication. Commonly chirp signals such as Linear Frequency Modulated …

    수중 환경에서의 도플러 천이 주파수 추정은 채널 특성을 분석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주로 Linear Frequency Modulated(LFM) 신호와 같은 처프 …

    + READ MORE
    Doppler estimation in underwater environments is essential for analyzing channel characteristics and enhancing communication. Commonly chirp signals such as Linear Frequency Modulated (LFM) signals have been used, and the most widely known method is to measure the cross-correlation with its replica at the receiver or to estimate the Doppler shift frequency by concatenating different types of chirp signa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oppler shift frequency estimation method based on the change 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single LFM signal at the receiver. The proposed method configures a replica using a Continuous Wave (CW) signal to estimate the first Doppler shift frequency, and then goes through a correction process through curve fitting. It wa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s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computational load by about 72%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when estimating the Doppler frequency.


    수중 환경에서의 도플러 천이 주파수 추정은 채널 특성을 분석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주로 Linear Frequency Modulated(LFM) 신호와 같은 처프 신호가 사용되었으며, 수신단에서 이의 리플리카(replica)와 상호상관도를 측정하거나 다른 형태의 처프 신호를 연접하여 도플러 천이 주파수를 추정하는 것이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LFM 신호를 이용하면서 수신단에서 이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도플러 천이 주파수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Continuous Wave(CW) 신호를 사용하여 리플리카를 구성하여 1차 도플러 천이 주파수를 추정하며, 이후 곡선 적합을 통해 보정 과정을 거친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플러 천이 주파수를 추정하는 경우 기존의 방법에 비해 약 72 %의 계산량 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Performance comparisons of matched field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based source range estimation under mismatch conditions

    오정합 조건에 따른 정합장 처리와 머신러닝 기반 음원 거리 추정 성능 비교

    Soyeon Park, Geunhwan Kim, Gihoon Byun

    박소연, 김근환, 변기훈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heavily depends on the accurac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its localization performance significantly degrades when model mismatch occurs. …

    정합장 처리(Matched Field Processing, MFP)는 환경 정보의 정확도에 크게 의존하며 모델 오정합이 발생할 경우 추정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

    + READ MORE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heavily depends on the accurac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its localization performance significantly degrades when model mismatch occur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study on machine learning-based matched field processing, which estimates source range without an acoustic model, was proposed. However, a systematic analysis on mismatch problems has not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using real ocean experimental data and numerical simulations, we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model-based MFP and machine learning-based MFP under representative mismatch conditions such as bathymetry mismatch and array tilt mismatch. As a result, both methods exhibited deviations in range estimation due to mirage effects caused by bathymetric mismatch, and the estimation error increased sharply when the array tilt mismatch exceeded 1.3°. In addition, performance degradation was more severe under combined mismatch conditions than under single mismatch.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based MFP can also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mismatch conditions.


    정합장 처리(Matched Field Processing, MFP)는 환경 정보의 정확도에 크게 의존하며 모델 오정합이 발생할 경우 추정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음향 모델 없이 음원의 거리를 추정하는 머신러닝 기반 정합장 처리에 대한 연구가 제안되었으나, 오정합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해상 실험 데이터와 수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수심 불일치 및 수신배열 센서 기울기 불일치와 같은 대표적인 오정합 조건에서 음향 모델 기반 정합장 처리와 머신러닝 기반 정합장 처리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기법 모두 수심 오정합 시 신기루 현상으로 인해 거리 추정에 편차가 발생하였으며, 배열 기울기 불일치가 1.3°를 초과할 경우 오차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단일 오정합 조건보다 복합 오정합 조건에서 성능 저하가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머신러닝 기반 정합장 처리 역시 오정합 조건에 따라 거리 추정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Matched-field processing using phase compensation to correct array tilt mismatch

    배열 기울기 오정합에 대한 위상 보정 기반 정합장 처리 기법

    YuJin Lee, Donghyeon Kim, Gihoon Byun

    이유진, 김동현, 변기훈

    This paper highlights the sensitivity of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performance to uncertainties in ocean acoustic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specifically analyzes how …

    본 논문에서는 정합장 처리(Matched Field Processing, MFP)의 성능이 해양 음향 환경 변수의 불확실성에 민감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특히 배열 기울기 오정합이 모델 오차를 …

    + READ MORE
    This paper highlights the sensitivity of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performance to uncertainties in ocean acoustic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specifically analyzes how array tilt mismatch causes model errors that significantly degrade source localization accuracy.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compensating array tilt mismatch. Conventional approaches generate replica vectors corresponding to various tilt angles and compare them with the received data vector, which results in high computational cost. In this study, we propose a low-complexity compensation technique based on normal mode theory that efficiently corrects phase distortion induced by array til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al data, and the results demonstrate its performance and advantages.


    본 논문에서는 정합장 처리(Matched Field Processing, MFP)의 성능이 해양 음향 환경 변수의 불확실성에 민감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특히 배열 기울기 오정합이 모델 오차를 유발하여 음원 위치 추정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분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열 기울기 오정합을 보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식은 모든 기울기에 대한 음장 벡터를 생성한 후, 이를 수신 데이터 벡터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정상 모드 이론에 기반하여 배열 기울기로 인한 위상 왜곡을 효율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저연산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의 유효성은 실제 해상실험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제안 기법의 성능과 장점을 입증한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Article

    Localization of multiple uncorrelated sources using matched field processing with multiple tilt constraints

    다중 기울기 제약조건을 가진 정합장 처리를 이용한 비상관성 다중 음원 위치 추정

    Donghyeon Kim, Gihoon Byun

    김동현, 변기훈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a widely used technique for source localization, is known to be highly sensitive to even small deviations in …

    정합장 처리는 음원 위치 추정을 위한 대표적인 기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배열 기울기의 미세한 변화(e.g., > 2°)에도 매우 민감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

    + READ MORE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a widely used technique for source localization, is known to be highly sensitive to even small deviations in array tilt (e.g., > 2°). To address this issue, a Multiple Tilt Constraints (MTC)-based MFP approach was recently proposed. In this study, we extend the application of MTC-based MFP to uncorrelated multiple-source scenarios involving differing array tilt conditions, including cases with opposite tilts, and investigate its feasibility for simultaneous localization of multiple uncorrelated sources. Furthermore, to mitigate the elevated sidelobe levels often encountered in such scenarios, we incorporat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into the MTC-based MFP framework. The proposed method is validated using ship-radiated noise data collected during the Shallow-water Acoustic Variability EXperiment 2015 (SAVEX15). To simulate an extreme multiple-source scenario, ship noise from two different time periods with opposite array tilts is synthetically combined.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ata demonstrates that conventional MTC-based MFP exhibits increased ambiguity due to enhanced sidelobes in multi-source cases. In contrast, the SVD-enhanced MTC-based MFP effectively suppresses sidelobes, achieving robust and accurate localization of multiple sources, even under conditions of opposing array tilts.


    정합장 처리는 음원 위치 추정을 위한 대표적인 기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배열 기울기의 미세한 변화(e.g., > 2°)에도 매우 민감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중 기울기 제약조건(Multiple Tilt Constraints, MTC)을 기반으로 한 정합장 처리 기법이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MTC 기반 정합장 처리 기법을 서로 다른 배열 기울기, 특히 정반대의 기울기를 가지는 비상관성 다중 음원 시나리오에 확장 적용함으로써, 비상관성 다중 음원의 동시 위치 추정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엽 수준의 상승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MTC 기반 처리 구조에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를 접목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2015년 동중국해에서 수행된 해상 실험인 Shallow-water Acoustic Variability EXperiment 2015(SAVEX15)에서 수집된 선박 방사소음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되었다. 극단적인 다중 음원 환경을 모의하기 위해, 서로 반대 기울기를 갖는 두 개의 시간대 데이터를 합성하였다. 기존 MTC 기반 정합장 처리 기법은 다중 음원 환경에서 부엽의 증가로 인해 모호성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SVD 기반으로 확장된 제안 기법은 부엽 억제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정반대 배열 기울기를 갖는 음원에 대해서도 정확하고 안정적인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