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noise generation mechanism for two-phase flow of refrigerant in evaporator inlet pipe of refrigerator
냉장고 증발기 입구 배관의 냉매 이상유동에 의한 소음 발생 메커니즘 분석
-
Jooyoung Lee, Sangheon Lee, Cheolung Cheong, Taehun Kim, and Junhyo Koo
이주영, 이상헌, 정철웅, 김태훈, 구준효
- In this paper, numerical flow and acoustic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inlet piping of refrigerator evaporator, taking actual operating conditions to …
본 논문에서는 실제 작동 조건을 고려하여 냉장고 증발기 입구 배관에 대해 수치적으로 유동해석 및 소음해석을 진행하여 냉매음의 발생메커니즘을 분석했다. 냉장사이클의 팽창과정을 고려하여 …
- In this paper, numerical flow and acoustic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inlet piping of refrigerator evaporator, taking actual operating condition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refrigerant induced noise generation. Four operating conditions were selected as boundary conditions, considering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refrigeration cycle. Two-phase flow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temperature changes and phase transitions of the R600a refrigerant in the region from the condenser outlet to the evaporator inlet. Acoustic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area near the evaporator inlet has a higher noise contribution compared to the capillary tube. By comparing the instantaneous sound pressure of bubbles and acoustic analysis result, pipe area for reducing refrigerant induced noise was proposed.
- COLLAPSE
본 논문에서는 실제 작동 조건을 고려하여 냉장고 증발기 입구 배관에 대해 수치적으로 유동해석 및 소음해석을 진행하여 냉매음의 발생메커니즘을 분석했다. 냉장사이클의 팽창과정을 고려하여 4개의 작동조건을 선정 후 경계조건으로 부여했다. 응축기 출구부터 증발기 입구까지 영역에 대해 R600a냉매의 온도 변화 및 상변화를 고려하여 이상유동해석을 진행했다. 소음해석 결과 증발기 입구 근처 영역이 모세관 대비 높은 소음기여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소음해석 결과를 기포 순간 음압과 비교하여 냉매소음 개선을 위한 배관영역을 제시했다.
-
Analysis of noise generation mechanism for two-phase flow of refrigerant in evaporator inlet pipe of refrigerator
-
Research Article
-
Research on the transmission loss measurement and application to analyze the detection effectiveness of line array sensor in deep-sea environments
심해 환경에서 선배열 센서의 탐지 효과도 분석을 위한 음파 전달 손실 측정 및 적용 연구
-
Hansoo Kim, Sungho Cho, Donhyug Kang, and Sunhyo Kim
김한수, 조성호, 강돈혁, 김선효
- 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etecting the underwater targets based 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sound transmission in deep …
최근, 심해역 수중 음파전달 특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수중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해 환경인 동해 중북부 해역에서 …
- 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etecting the underwater targets based 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sound transmission in deep sea. In this study, we conducted measurements and analysis of low-frequency (200 Hz) transmission loss using a self-recording hydrophone installed near a depth of approximately 1,800 m in the deep sea of the East Sea. Additionally,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asured transmission loss, we performed acoustic transmission modeling using a Range-dependent Acoustic Model (RAM) based on the marine environmental databa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sured transmission loss values in both flat and upslope regions of the deep sea were consistent with the modeling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ducted an analysis of underwater acoustic detection environments considering variations in depth and seasons. It was observed that when the sensor was positioned at depths deeper, the detection probability and localization accuracy were relatively higher. Furthermore, near the bottom, the detection range increased approximately 5 t to 7 t due to downward refraction of sound waves. Thes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pplications such as underwater acoustic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underwater sound source localization in deep-sea environments.
- COLLAPSE
최근, 심해역 수중 음파전달 특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수중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해 환경인 동해 중북부 해역에서 수심 약 1,800 m 부근에 수중청음기를 설치하여 저주파수(200 Hz) 음원을 이용한 전달 손실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실측한 전달 손실 값의 비교 및 분석을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해양 환경 자료 기반 Range-dependent Acoustic Model(RAM) 모델을 통해 음파 전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심해 평탄한 지역(Flat)과 오르막(Upslope) 지역에서 측정한 전달 손실 결과와 모델링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수심 및 계절에 따른 음향 탐지 환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센서가 표층보다 저층에 위치할 때 탐지 확률 및 위치 탐지 결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음파의 하향 굴절로 인하여 탐지 거리가 수심의 약 5 ~ 7배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심해 환경에서의 수중음향 특성 및 수중 음원 위치 추정 등의 응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Research on the transmission loss measurement and application to analyze the detection effectiveness of line array sensor in deep-sea environments
-
Research Article
-
Preliminar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ctive noise control for reducing underwater radiated noise from naval vessel propellers
함정 프로펠러 수중 방사 소음 저감을 위한 능동 소음 제어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
Dongwook Kim and Hanshin Seol
김동욱, 설한신
-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about applying Active Noise Control (ANC) to reduce underwater radiated noise from ship propellers. In this …
본 연구는 함정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수중 방사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능동 소음 제어 적용을 위한 예비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제어기를 …
-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about applying Active Noise Control (ANC) to reduce underwater radiated noise from ship propellers. In this research, simulations of active noise control using a virtual controller were performed to predict the noise reduction effects and changes in the sound field due to ANC on underwater propeller noise.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Blade Passing Frequency (BPF) component of underwater propeller noise has a low frequency, the noise generated by the propeller has an impact waveform, necessitating a controller with a high sampling rate of over 40 kHz in the Filtered-X Lesat Mean Square (FxLMS) algorithm.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in the case of Single-Input Single-Output (SISO) active noise control, noise reduction is achieved in the direction of the error microphone, but noise increas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rror microphon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guidelines on the conditions and performance of noise reduction for active noise control of underwater propeller nois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liminary conditions and validation steps for active noise control of propeller noise in naval vessels are proposed.
- COLLAPSE
본 연구는 함정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수중 방사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능동 소음 제어 적용을 위한 예비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제어기를 이용한 능동 소음 제어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에 따른 수중 프로펠러 소음의 저감 효과 및 음장 변화를 예측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수중 프로펠러는 낮은 주파수의 날개통과 주파수(Blade Passing Frequency, BPF) 성분을 가졌으나 충격 파형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FxLMS 알고리즘 ANC를 이용해 수중 프로펠러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40 kHz 이상의 높은 샘플링 레이트를 갖는 제어기가 필요하였다. 또한,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ngle-Input Single-Output, SISO) ANC의 경우 에러 마이크 방향으로 소음 저감이 가능하였지만 에러 마이크와 반대 방향에서는 소음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중 프로펠러 소음에 대한 ANC 적용을 위한 조건 및 ANC 적용에 따른 저감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함정 프로펠러 소음에 대한 능동소음제어를 위한 선행조건 및 검증 단계에 대해 제시하였다.
-
Preliminar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ctive noise control for reducing underwater radiated noise from naval vessel propellers
-
Research Article
-
Robust recursive total least squares algorithm
견실한 재귀형 완전 최소 자승 알고리즘
-
Jun-Seok Lim and Yong-Gook Pyeon
임준석, 편용국
- It is known that the complete least squares method performs better estimation performance than the least squares method when noise is present …
잡음이 입출력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 완전 최소 자승법이 최소 자승법보다는 더 나은 추정 성능을 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완전 최소 자승법을 사용할 …
- It is known that the complete least squares method performs better estimation performance than the least squares method when noise is present in both input and output. When using the complete least squares method, a Recursive Total Last Squares (RTLS) algorithm has been proposed to add real-time performance. However, when using the RTLS algorithm, it has numerical instability resulting from inverse matrix calcul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reduce the numerical instability of the algorithm structure of RTLS. For this algorithm, we propose a new RTLS algorithm that introduces a whitening process.
- COLLAPSE
잡음이 입출력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 완전 최소 자승법이 최소 자승법보다는 더 나은 추정 성능을 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완전 최소 자승법을 사용할 경우 실시간 성을 더하기 위해서 Recursive Total Least Squares(RTLS)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RTLS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역행렬 계산에서 오는 수치적인 불안정성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RTLS의 알고리즘 구조의 수치적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을 위해서 백색화 과정을 도입한 새로운 RTLS를 제안한다.
-
Robust recursive total least squares algorithm
-
Research Article
-
Emotion recognition using spatio-temporal feature fusion of electroencephalography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뇌전도와 해당 오디오 신호의 시공간적 특징 융합을 이용한 감정인식
-
Ju-Hwan Lee and Hyoung-Gook Kim
이주환, 김형국
- Considering the benefits of complementary information sharing through deep learning of multi-modal signals related to emotions, this paper proposes a multimodal emotion …
감정과 관련된 다중 모달리티 신호의 심층 학습을 통한 상호보완적 정보 공유의 이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Electroencephalogram(EEG) 신호와 해당 오디오 신호를 기반으로 한 …
- Considering the benefits of complementary information sharing through deep learning of multi-modal signals related to emotions, this paper proposes a multimodal emotion recognition method based on audio and Electroencephalogram (EEG) data. In the proposed method, we first extract spatio-temporal features from EEG signals using EEG networks (EEGNet) and Temporal Convolution Network (TCN), extract spatio-temporal features from corresponding audio signals using pre-trained VGG networks and TCN. Then, the Conformer mechanism is applied to merge EEG and audio features to recognize four emotional states. Experimental results on the DEAP dataset, which is widely used for emotion recognition,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ed improved accuracy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using only EEG signals.
- COLLAPSE
감정과 관련된 다중 모달리티 신호의 심층 학습을 통한 상호보완적 정보 공유의 이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Electroencephalogram(EEG) 신호와 해당 오디오 신호를 기반으로 한 다중 모달리티 감정인식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에서는 먼저 EEG 신경망(EEGNet)과 Temporal Convolution Network(TCN) 신경망을 사용하여 뇌전도 신호로부터 시공간 특징을 추출하고, 사전학습된 VGG신경망과 TCN 신경망을 사용하여 해당 오디오 신호로부터 시공간 특징을 추출한 다음, Conformer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뇌파 및 해당 오디오 특징을 병합하여 모델링함으로써 4가지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였다. 감정인식에 널리 사용되는 DEAP 데이터세트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된 방식이 EEG 신호만 사용한 이전 연구와 비교하여 향상된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
Emotion recognition using spatio-temporal feature fusion of electroencephalography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
Research Article
-
Self-attentive residual 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based indoor emergency awareness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from sound and human activity
사운드와 활동 정보를 이용한 셀프 어텐션 잔차 시간적 합성곱 신경망 기반 실내 비상상황 인식
-
Ju-Hwan Lee and Hyoung-Gook Kim
이주환, 김형국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oor emergency awareness alert system that recognizes and delivers a user's emergency situation through sound and …
본 논문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집된 소리와 활동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비상상황을 인식하여 알려주는 실내 비상인식 알람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oor emergency awareness alert system that recognizes and delivers a user's emergency situation through sound and activity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mobile device. In the proposed system, the indoor spatial sound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signals from the accelerometer and gyroscop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re applied to the Self-Attentive Residual 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s (SARTCN) to recognize emergency situations and quickly transmit the status of the monitored person to the guardian or family using the mobile transmission system. For training, we conducted experiments to recognize emergency situations using sound data recorded through actual mobile devices, as well as accelerometer and gyroscope signals, and our proposed SARTCN model achieved a high accuracy of 93.7 % in recognizing indoor emergency events by integrating sound event detection and activity recogn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cts and responds to emergency situations of people who need assistance,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 COLLAPSE
본 논문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집된 소리와 활동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비상상황을 인식하여 알려주는 실내 비상인식 알람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실내 공간 사운드, 그리고 모바일 기기 내에 장착된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의 신호를 셀프 어텐션 잔차 시간적 합성곱 신경망(Self-Attentive Residual 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s, SARTCN)에 적용함으로써 비상상황을 인식하고 모바일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되는 사람의 상태를 보호자나 가족에게 신속하게 전달한다. 학습을 위해 실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녹음된 사운드 데이터 및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의 신호를 활용하여 비상상황을 인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SARTCN은 사운드 이벤트 인식과 활동인식의 통합한 실내 비상 상황 인식에서 93.7 %의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노인과 어린아이와 같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의 비상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대처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Self-attentive residual 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based indoor emergency awareness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from sound and human activity
-
Research Article
-
A study on inversion method of rotating monopole source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propeller singing noise source
프로펠러 명음소음원의 위치 추정을 위한 단극자 회전소음원의 역산 기법
-
Minseuk Park, Keunhwa Lee, Youngmin Choo, Myungsung Koo, and Jungmo Jung
박민석, 이근화, 추영민, 구명성, 정정모
- Singing noise refers to the strong noise phenomenon that occurs when vortices separated from the propeller blades resonate with structures. This noise …
명음소음은 프로펠러 날개에서 박리되는 와류가 구조물과 공진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음현상이다. 명음소음은 발생 시 선원의 안락성을 저해하고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저감대책이 …
- Singing noise refers to the strong noise phenomenon that occurs when vortices separated from the propeller blades resonate with structures. This noise hinders the comfort of the crew and negatively impacts the marine ecosystem, necessitating effective mitigation measures. However, effective analysis of this noise source is challenging due to the frequency modulation phenomenon of the received signal.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coustic signal model for analyzing the singing noise and suggest an inversion technique to estimate the location of noise source, assuming it is of a monopole type. This technique provides a method for analyzing singing noise using only a single hydrophone, making it possible to establish the noise reduction measures during the design and operation stages. The proposed inversion technique using the signal model has been validated through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 COLLAPSE
명음소음은 프로펠러 날개에서 박리되는 와류가 구조물과 공진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음현상이다. 명음소음은 발생 시 선원의 안락성을 저해하고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저감대책이 필요하나,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변조현상으로 인해 해당 소음원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명음소음의 위치추정을 위한 음향 신호모델을 제안하였고, 명음소음원을 단극자 소음원으로 가정하고 발생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역산기법을 제안하였다. 해당 기법은 단일 청음기만을 이용한 명음소음 분석 방법을 제공하여 설계 및 운용 단계에서 명음소음 방지대책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신호모델을 이용한 역산기법은 실험과 수치해석 분석을 통해 성능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A study on inversion method of rotating monopole source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propeller singing noise source
-
Research Article
-
A study 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daegeum galdaecheong
대금 갈대청 대체 재료 음향 특성 분석 연구
-
Eun-Ji Ko
고은지
- This paper highlights the need for fundamental research due to the restricted supply of galdaecheong, resulting from the shrinking area of reed …
본 논문은 갈대밭 면적 축소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갈대청 공급이 제한되어 있고, 갈대청 대체 재료 연구도 없는 상황이라 기초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래서 …
- This paper highlights the need for fundamental research due to the restricted supply of galdaecheong, resulting from the shrinking area of reed field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the lack of research on alternative materials for galdaecheong. Based on feedback from daegeum player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galdaecheong with the physical and acoustic properties of alternative materials to propose a substitute. First, looking at the hearing test results, B galdaecheong was the most preferred (57 %), followed by A galdaecheong (25 %). A substitute material is proposed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galdaecheong. The elastic modulus of galdaecheong is about 0.7–1 GPa, and since low-density polyethylene has an elastic modulus of 1.08 GPa, it falls within this range and can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material. Acoustic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A and B galdaecheong with C (low-density polyethylene). A showed an increase in sound pressure in the 2.2 kHz ~ 20 kHz range in reverse blowing, B showed an increase in the 2.9 kHz ~ 16 kHz range in both normal and reverse blowing, and C showed an increase in the 1.5 kHz ~ 4.7 kHz range in low, normal, and reverse blowing. It was confirmed that A and B were distinct from C at the 8 kHz mark. The range above 8 kHz includes sibilant components, which are key factors in tonal characteristics. As for tonal preference, 33 % preferred C, with some performers commenting that it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low-quality galdaecheong.” This data is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alternative materials for galdaecheong.
- COLLAPSE
본 논문은 갈대밭 면적 축소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갈대청 공급이 제한되어 있고, 갈대청 대체 재료 연구도 없는 상황이라 기초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래서 대금연주자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갈대청 특성과 대체 재료의 물성과 음향특성을 비교하여 대체 재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청음 결과를 살펴보면 B 갈대청을 가장 선호(57 %)하였고, 그다음으로 A 갈대청을 선호(25 %)하였다. 갈대청 물성 기준으로 대체 재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갈대청의 탄성률은 약 0.7 GPa ~ 1 GPa이고, low-density polyethylene는 1.08 GPa로 범주에 들어 대체 재료로 제안할 수 있다. 음향 분석은 A, B 갈대청과 C(low-density polyethylene)를 비교하였다. A는 역취에서 평균 2.2 kHz ~ 20 kHz에서 음압이 상승하였고, B는 평취, 역취에서 평균 2.9 kHz ~ 16 kHz에서 음압이 상승하였고, C는 저취, 평취, 역취에서 평균 1.5 kHz ~ 4.7 kHz에서 음압이 상승하였다. 8 kHz 기점으로 A, B와 C가 나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 kHz이상 구간은 치찰음 성분이 포함된 구간이며 음색 특징의 주요 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음색 선호 결과는 C를 33 % 선호하며 ‘저품질 갈대청의 특성을 나타낸다.'는 연주자 의견을 받았다. 이 자료는 갈대청 대체 재료 연구에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daegeum galdaecheong
-
Research Article
-
Improving lateral resolution in ultrasound imaging through structured illumination techniques
구조화 조명 기법을 통한 초음파 영상의 측면 해상도 향상
-
Hyunsu Choi, Jaesok Yu, and Jihun Kim
최현수, 유재석, 김지훈
- Conventional ultrasound imaging is limited by the diffraction limit, which constrains its spatial resolution. Although Ultrasound Localization Microscopy (ULM) can overcome this …
기존의 초음파 이미징은 회절 한계로 인해 공간 분해능이 제한된다. 초음파 지역화 현미경(Ultrasound Localization Microscopy, ULM)은 조영제를 사용하여 이 회절 한계를 극복하고 초고해상도 …
- Conventional ultrasound imaging is limited by the diffraction limit, which constrains its spatial resolution. Although Ultrasound Localization Microscopy (ULM) can overcome this diffraction limit to achieve super-resolution imaging through the use of contrast agents, it is primarily restricted to vascular imaging and requires the acquisition of tens of thousands of low-resolution images to generate a single high-resolution image. To address these challenges, we propose a novel ultrasound-based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uSIM) technique. This method improves lateral resolution as evidenced by both in-silico and in-vitro phantom experiment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uSIM achieves superior spatial resolution without being confined to specific tissues, requiring only nine images to reconstruct high-resolution image. This proposed technique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in various medical ultrasound diagnostic applications.
- COLLAPSE
기존의 초음파 이미징은 회절 한계로 인해 공간 분해능이 제한된다. 초음파 지역화 현미경(Ultrasound Localization Microscopy, ULM)은 조영제를 사용하여 이 회절 한계를 극복하고 초고해상도 이미징을 달성할 수 있으나, 주로 혈관 이미징에 제한되며 단일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수만 장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획득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새로운 초음파 기반 구조화 조명 현미경(ultrasound-based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uSIM)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초음파 시뮬레이션 및 인체조직 모사 팬텀 실험에서 평가되었으며, 개선된 공간 분해능을 보여주었다. 실험 결과는 uSIM 기법이 특정 조직에 국한되지 않고 개선된 공간 분해능을 달성하며,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단 9장의 저해상도 영상만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본 기법은 다양한 의료용 초음파 진단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Improving lateral resolution in ultrasound imaging through structured illumination techniques
-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floor impact noise: A case study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층간소음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분석: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Hye-kyung Shin
신혜경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neighbor noise annoyance.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the 2021 Gwangju Social Survey …
본 연구는 층간소음 성가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2021년 광주 사회조사 데이터(4,905가구 대상)를 대상으로 통계 분석과 나이팅게일 로즈 다이어그램를 활용하여 …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neighbor noise annoyance.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the 2021 Gwangju Social Survey (covering 4,905 households), employing statistical analysis and Nightingale rose diagrams.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 noise annoyance and employment status, work status, and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district-level analysis, Gwangsan-gu showed the highest rate of highly annoyed responses. Among employment categories, temporary or daily worker exhibited a high proportion of annoyanc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neighbor noise annoyanc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s influenced by complex interactions of various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targeted noise management policies that specifically addres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gions and socioeconomic groups.
- COLLAPSE
본 연구는 층간소음 성가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2021년 광주 사회조사 데이터(4,905가구 대상)를 대상으로 통계 분석과 나이팅게일 로즈 다이어그램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종사상 지위, 일 여부, 그리고 행정구역이 층간소음 성가심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별 분석에서는 광산구가 가장 높은 성가심 응답률을 보였다. 고용 상태별로는 임시 및 일용 근로자 그룹에서 성가심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층간소음 성가심이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별, 계층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소음 관리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Analysis of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floor impact noise: A case study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indoor shoes and mats using a simulator (‘Aittemi’) for children running indoors
어린이 뛰어다님 시뮬레이터(“아이뜀이”) 활용 실내화 및 매트류의 층간 소음 저감 성능 분석
-
Min-Jeong Song, Hyeon-Ku Park, and Jong-Kwan Ryu
송민정, 박현구, 류종관
- Thi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ittemi,” a source of floor impact sound that mimics the running of actual children, on 10 …
실제 어린이의 뛰어다님을 모사하는 바닥충격음 발생원인 “아이뜀이”를 활용하여 실내화 10종, 매트류 10종 및 그 조합 10종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매트류에 대해서는 “아이뜀이”와의 …
- Thi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ittemi,” a source of floor impact sound that mimics the running of actual children, on 10 types of indoor shoes, 10 types of mats, and their combinations. For mats, addition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existing impact sources, the tapping machine and a rubber ball, for comparison with the Aittemi. When Aittemi was used as the impact source, performance could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test subjects, confirming that Aittemi is a discerning impact source for evaluating both indoor shoes and mats. Furthermore, since Aittemi simulates the running of actual children, it is expected to provide a realistic measure of noise reduction when indoor shoes and mats are applied in apartment complexes in South Korea.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s using traditional impact sources on mats, it was found that the tapping machine could excess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pecimens, whereas the rubber ball might underestimate it. Therefore, these two traditional impact sources are not suitable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mats in terms of reflecting real-life situations.
- COLLAPSE
실제 어린이의 뛰어다님을 모사하는 바닥충격음 발생원인 “아이뜀이”를 활용하여 실내화 10종, 매트류 10종 및 그 조합 10종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매트류에 대해서는 “아이뜀이”와의 충격원 비교를 위해 기존 충격원인 태핑머쉰과 고무공에 대한 실험도 병행 시행하였다. “아이뜀이”를 충격원으로 하였을 때, 실험 대상 구조별로 성능 구분을 할 수 있어 실내화나 매트류에 대한 변별력이 있는 충격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아이뜀이”는 실제 어린이의 뛰어다님을 모사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공동주택에서 실내화나 매트류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현실적인 저감량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매트류에 대한 기존 충격원의 실험 결과, 태핑머쉰은 시편의 성능을 과도하게 평가할 수 있는 소지가 있었고 반대로 고무공은 과소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 가지의 기존 충격원은 실제 상황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는 매트류의 성능 평가에 적절한 충격원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
Analysis of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indoor shoes and mats using a simulator (‘Aittemi’) for children running indoors
-
Review Article
-
Measurements of physiological responses to noise-induced stress: A scoping review
소음 스트레스 생체 반응 측정 방법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Jihyun Cheon, You Jeong Hong, Hye Jin Shin, and Eunju Jeong
천지현, 홍유정, 신혜진, 정은주
- Noise induces discomfort and stress, affecting overall behavioral functions. Various attempts has been made to quantify noise-related stress, with the measurement of …
소음은 불쾌감을 유발하며 인간의 전반적인 행동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정량화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지속되고 있으며, 생체반응은 자각 이전의 스트레스를 감지 및 …
- Noise induces discomfort and stress, affecting overall behavioral functions. Various attempts has been made to quantify noise-related stress, with the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responses gaining particular attention for its potential to detect stress before conscious awareness. Despite the advantages of using physiological responses, a consensus has not been reached, possibly due to the heterogeneity in experimental-related factors such as settings, design, methods,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review studies that employed physiological responses to measure noise-related stress. Using keywords such as “Noise,” “Stress,” “Electroencephalogram (EEG),” “Electrocardiogram (ECG),” and “Photoplethysmogram (PPG),” we conducted a literature search in PubMed and Web of Science to identify studies from the past six years. Eighteen studies meeting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through a scoping review method, focus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noise properties,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indicators,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specific to noise typ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ies involved adult participants in their 20s (average 28.5), used laboratory noise exposure via speakers alongside cognitive tasks to induce stress. EEG indicators included frequency band amplitudes, while ECG metrics covered heart rate, heart rate variability, and high frequency/low frequency ratios. The EEG and ECG responses to noise stress varied by noise type, with distinct differences in EEG frequency band indicators and ECG variability metric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verse physiological responses can be effectively used as evaluation metrics for noise management and noise-related stress reduction technologies.
- COLLAPSE
소음은 불쾌감을 유발하며 인간의 전반적인 행동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정량화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지속되고 있으며, 생체반응은 자각 이전의 스트레스를 감지 및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잠재적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소음의 유형, 실험 환경 및 설계, 측정 지표 및 방법 등으로 인하여 합의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음에 의해 유발된 스트레스를 생체 반응으로 측정한 연구를 분석하여, 소음의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의 생체 반응과 그 경향을 고찰하는데 있다. PubMed와 Web of Science에서 ‘Noise’, ‘Stress’,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광혈류(Photoplethysmogram, PPG)’ 등의 핵심어를 사용하여 최근 6년간의 문헌을 검색하고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18편의 연구를 선정한 후,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으로 문헌의 일반적 특성, 소음의 특성, 측정방법 및 지표, 생체 반응의 경향, 소음 유형에 차별화된 생체지표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대 성인 대상자, 평균 28.5명을 대상으로, 실험실 환경에서 스피커를 통하여 소음이 제시되었으며, 소음과 함께 인지 과제를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소음 스트레스 지표로 EEG의 경우 주파수 대역별 신호의 크기, ECG의 경우 심박수, 심박 변이도, 고주파-저주파 비율을 사용하였다. 소음 스트레스에 대한 EEG와 ECG 지표별 반응 분석 결과, 소음의 유형에 따라 EEG 주파수 대역별 지표와 ECG 변이도 지표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생체 지표와 반응이 효과적인 소음 관리와 소음 저감 기술의 평가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Measurements of physiological responses to noise-induced stress: A scoping review
-
Research Article
-
Comparative analysis of binaural microphone measurements and inter-rater reliability for soundscape research
사운드스케이프 연구를 위한 바이노럴 마이크로폰 및 측정자 간 측정 결과 비교
-
Wan-Ki Moon, Geon-Hee Kim, Jae-Yun Jeon, and Joo-Young Hong
문완기, 김건희, 전재윤, 홍주영
- Binaural recordings are essential in soundscape evaluation, simulating real-life sound experiences. However, wearable binaural microphones yield varied results depending on user physical …
사운드스케이프 평가에서 바이노럴 녹음은 실제 환경과 유사한 소리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착용형 바이노럴 마이크로폰은 신체 특성에 따라 녹음 결과와 심리음향지표가 …
- Binaural recordings are essential in soundscape evaluation, simulating real-life sound experiences. However, wearable binaural microphones yield varied results depending on user physical traits, requiring further investigation. This study compared an artificial head simulator and two types of wearable binaural microphones—headphone and in-ear—in soundscape evaluation, focusing on microphone type and inter-rater variability. Recordings of water sounds, traffic noise, human sounds, and pink noise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ear and headphone types. The artificial head and headphone types had similar A-weighted equivalent noise levels, Loudness and Sharpness, while the in-ear type varied more. Headphone recordings were closer to the artificial head, and user variability was greater with in-ear microphones. Differences were larger for pink noise and water sounds, while human and traffic noise results were more consistent. This study highlights how equipment type and user variability affect measurement results but only addresses physical acoustic metrics.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s to capture how listeners perceive sounds, comparing these subjective perceptions with physical acoustic data.
- COLLAPSE
사운드스케이프 평가에서 바이노럴 녹음은 실제 환경과 유사한 소리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착용형 바이노럴 마이크로폰은 신체 특성에 따라 녹음 결과와 심리음향지표가 달라질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머리 시뮬레이터와 착용형 바이노럴 마이크로폰 두 종류(인이어 타입 및 헤드폰 타입)를 대상으로 사운드스케이프 평가에서 바이노럴 마이크로폰의 종류 및 측정자 간 측정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현장에서 직접 녹음한 물소리, 도로교통 소음, 사람소리와 생성한 핑크노이즈를 이용하여 평가를 진행했다. 바이노럴 마이크로폰 간 성능 비교 분석 결과, 인이어 타입과 헤드폰 타입의 바이노럴 마이크로폰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A-가중 등가소음레벨과 Loudness, Sharpness에서 인공머리 시뮬레이터와 헤드폰 타입은 차이가 작았으나, 인이어 타입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바이노럴 마이크로폰 종류 및 착용자에 의한 결과를 비교했을 때, 헤드폰 타입은 인이어 타입보다 인공 머리 시뮬레이터와 유사한 값을 보였고, 착용자에 의한 차이도 인이어 타입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핑크노이즈와 물소리에서 두 마이크로폰 간 차이가 컸으며, 사람소리와 도로교통 소음에서는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바이노럴 마이크로폰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비와 측정자 간 변수가 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녹음된 소리에 대한 물리적 음향 지표 분석만을 다루었으며, 실제 청취자가 소리를 들을 때의 차이는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청취자의 소리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주관적 평가와 물리적 음향 지표 평가를 함께 수행하고, 그 결과를 물리적 음향 분석과 비교할 필요가 있다.
-
Comparative analysis of binaural microphone measurements and inter-rater reliability for soundscape research
-
Research Article
-
A literature review and resident survey on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by structural systems in apartment buildings
공동주택 구조형식별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에 관한 문헌조사 및 거주자 음환경 인식조사
-
Sang Hee Park, Hye-kyung Shin, Jin-hee Jeong, and Kyoung-woo Kim
박상희, 신혜경, 정진희, 김경우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domestic Rahmen (beam-column framed) and flat-plate/flat slab structure apartment …
본 논문은 국내 라멘구조와 무량판구조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구조형식이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관련 사회문제 개선에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며, …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domestic Rahmen (beam-column framed) and flat-plate/flat slab structure apartment buildings, explore whether these structural systems could be alternatives for improving floor impact noise-related social issues in apartment building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existing literature was review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residents living in these structures. The literature review revealed that laboratory or mock-up studie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field studies, and field studies had limitations in accurate performance comparison due to difficulties in controlling variables. Survey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ise perception between residents of walled structure and Rahmen/Flat-plate structure apartments.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perception surveys of residents in buildings with verified structural systems, and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al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data from recently implemented post-completion verification system and subjective noise perception.
- COLLAPSE
본 논문은 국내 라멘구조와 무량판구조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구조형식이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관련 사회문제 개선에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며, 향후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해당 구조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소음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실험실 연구 또는 목업 연구가 현장 연구에 비해 부족하며, 현장연구는 변수 통제의 한계로 정확한 성능 비교가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동주택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벽식구조와 라멘/무량판구조 거주자 간의 음환경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실제 구조형식이 확인된 현장에 방문하여 거주자들의 인식조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사후확인제도 도입에 따른 구조별 차단성능 데이터와 거주자 인식 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A literature review and resident survey on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by structural systems in apartment buildings
-
Research Article
-
Floor structure for the reduction of floor impact noise of apartment with concrete slab less than 210 mm
210 mm 미만 콘크리트 슬라브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방안
-
Seong-Shin Hong, Seung-Min Lee, and Chan-Hoon Haan
홍성신, 이승민, 한찬훈
- Many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mitigate floor impact noise, and advancements in floor struc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are underway to address …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해 많은 기술이 제시되어 왔으며 기존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개발 및 적용이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대해, 본 …
- Many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mitigate floor impact noise, and advancements in floor struc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are underway to address this issue in existing apartmen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floor structure improvements and mortar thickness variations in reducing floor impact noise in aging apartment buildings with slab thicknesses below 210 mm. Two apartme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one apartment underwent both floor and ceiling structure enhancements. In the other, floor structure improvements were implemented by adjusting mortar thickness. Mortar thicknesses were varied between 20 mm and 50 mm for base mortar and 40 mm and 70 mm for finishing mortar, applied to four households within the same apartment. Floor impact noise levels were measured according to KS F ISO 16283-2:2015 and assessed based on KS F ISO 717-2:2020.Floor impact noise levels were measured according to KS F ISO 16283-2:2015 and assessed based on KS F ISO 717-2:2020.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heavyweight impact noise by 17 dB and lightweight impact noise by 16 dB compared to the original floor structure. Additionally, thicker base and finishing mortars correlated with higher reductions in heavyweight impact noise. Lightweight impact noise reduction was most pronounced when incorporating resilient materials and finishing mortars containing Ethylene Vinyl Acetate (EVA) and Expanded Polystyrene (EPS). However, remodeling aging apartments can lead to resonance phenomena within specific frequency bands. Therefore, floor structure design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including mortar, to optimize floor impact noise reduction.
- COLLAPSE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해 많은 기술이 제시되어 왔으며 기존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개발 및 적용이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슬래브 두께 210 mm 미만 노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바닥구조 개선 및 모르타르 두께 변화를 통해 바닥충격음의 저감성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두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세대 내 바닥구조 및 천장구조를 개선하는 주택과 모르타르 두께를 달리하여 바닥구조를 개선하는 주택으로 구분하였다. 모르타르 두께는 기초모르타르 20 mm∼50 mm, 마감모르타르 40 mm∼70 mm로 차이를 두어 동일 공동주택의 네 세대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세대 내 바닥충격음은 KS F ISO 16283-2:2015를 통해 측정하여 KS F ISO 717-2:2020에 따라 평가하였다. 측정결과, 기존 바닥구조 대비 중량충격음은 17 dB, 경량충격음은 16 dB 저감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중량충격음은 기초 및 마감 모르타르의 두께가 두꺼움에 따라 높은 저감효과를 보였고 경량충격음은 Ethylene Vinyl Acetate (EVA) 및 Expanded Polystyrene(EPS)가 적용되는 완충재 및 마감모르타르 타설 시 저감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다만,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공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르타르를 포함하여 구성요소별 바닥충격음 저감에 효과적인 주파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바닥구조를 형성해야 한다.
-
Floor structure for the reduction of floor impact noise of apartment with concrete slab less than 210 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