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30 November 2019. 621-629
https://doi.org/10.7776/ASK.2019.38.6.621

ABSTRACT


MAIN

  • I. 서 론

  • II. 자료 및 연구방법

  • III. XBT 음속 계산 정확도 저하 요인

  • IV. 황해 수중음속 산출 방안

  • V. 결 론

I. 서 론

소나운용, 수중통신, 수로 측량시 해양환경의 파악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주로 해수의 음속(Sound Speed Profile, SSP)정보의 수집을 통하여 이루어진다.[1], [2], [3] SSP의 정확도가 높을수록 음파 전달거리를 더욱 현실적으로 예측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로 측량 시에도 정확한 수심정보를 확보 할 수 있다.[3], [4]SSP는 해수의 수심별 수온, 염분을 바탕으로 실험식을 통하여 산출되나[4], [5] 염분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변수에 비해 SSP변화에 비교적 적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따라서, 해양환경의 적시적 판단이 요구되는 해군 대잠전의 경우 수온만 관측하는 Expandable Bathy Thermograph(XBT)로 SSP를 산출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이때 염분은 통상 평균 개황 또는 추정치로 고정하여 산출된다.[2], [4] 그러나 XBT 운용해역의 실제 염분이 평균개황 또는 추정치 대비 편차가 크게 발생하는 등 염분값의 정확도가 떨어질 경우 음속추정의 정확도 또한 저하되어[7] 음파전달 손실 예측 시 오류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한편, 황해는 하계절 양쯔강으로부터 방류되는 담수의 외해 확장[8], [9]과 춘‧동계 절 수온역전[10], [11]에 의한 특이해양현상이 연중 발생하며, 이는 음파전달 환경에 필요한 기초 해양환경 파악을 난해하게 만드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 제주도 인근 해역에서의 양쯔강 저염분수 확장에 의한 영향으로 음향 층심도(Sonic Layer Depth, SLD, 음원으로부터 최대의 음속을 갖는 최대의 심도로 일정 주파수대의 음파가 먼 거리에 걸쳐 SLD 내에서 포획되어 전달됨)의 형성[12]과 수온 역전에 의한 특이 음파전달 양상[13]이 연구된 바 있으므로 이상 저염분 및 수온 역전 발생 시 수온만 측정하는 XBT로 SSP를 측정 시 예상되는 제한사항을 식별하고 이를 고려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정확한SSP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심도별 수온염분계(Conductivity, Temperature, and Depth, CTD)를 사용하여야 하나[4] 동 기기는 해양 탐사용 조사선에서 주로 운용될 뿐만 아니라, 관측 시 별도의 전문성을 갖춘 운용요원의 승선이 요구되므로 XBT와 비교시 편의성, 적시성에 있어 제한된 면이 있다. 한편, 해양무인체계(Unmannded Maritime System, UMS)의 경우 해양조사선에 의한 현장 관측과 달리 육상에서의 원격 조종에 의한 관측을 수행하므로 선박 운용이 제한된 조건에서 해류의 흐름을 이용한 글라이딩으로 장기간 운용이 가능한 장점[14]이 있다. 그러나 황해와 같이 조류가 강한 환경에서 목표해역까지 이동 시 조종성능의 제한 및 추진력의 과다소모 등의 운용상 제한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운용 시 유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높은 선박 통항량 및 어망 등 해양 장애물이 다수 분포할 경우 충돌에 의한 파손 및 유실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금번 연구에서는 기수집된 UMS 및 해양 관측 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황해에서 XBT에 의한 SSP 정확도가 저하되는 환경적 요인을 규명하고 UMS의 운용이 요구되는 시‧공간적 조건을 제시하여 정확도가 증가한 SSP를 산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I. 자료 및 연구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황해중부해역 일대에서 활동한 UMS인 Array for Real-time Geostrophic Oceanography(ARGO)플로트[15] 및 지구관측 위성인 Aqua,[16] Soil Moisture Active Passive(SMAP)[17]자료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ARGO 플로트2기는 국립기상과학원(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NIMS)에서 운용한 UMS로 CTD 센서가 탑재되어 황해중부해역 일대를 조류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수심별 수온, 염분을 측정하였다(Fig. 1).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1.jpg
Fig. 1.

(Color online) Trajectories of NIMS ARGO floats of 2901781 (black), 2901786(blue) used in this research.

하계 절에 활동한 2901781번 플로트의 경우 2018년 7월에 투하된 이후 약 3개월, 동계 절에 활동한 2901786번 플로트의 경우 2018년 12월에 투하된 이후 약 2.5개월간 활동하였다. 본 UMS는 수중 글라이더처럼 원격조종이 가능한 무인체계는 아니지만 이와 유사한 자체 부력 변화[14]를 통하여 연구 해역에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장기간 관측을 수행하였으므로 황해에서 수중글라이더의 운용도 가능함을 가정하였다. 연구 기간 및 해역에서 수집된 ARGO 플로트 관측자료는 국립기상과학원 웹사이트(http:// argo.nimr.go.kr/)를 통하여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해양관측 위성인 Aqua, SMAP은 미 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에서 개발한 위성으로 Aqua에서 수집된 표층수온(Sea Surface Temperature, SST)은 인터넷에 공개된 출처인 https://oceancolor.gsfc.nasa.gov/에서 수집하였으며, SMAP 위성으로부터 관측된 해수표층염분(Sea Surface Salinity, SSS)은 http://www.remss.com에서 공개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SMAP 위성 SSS는 ARGO 플로트가 황해 중부 해역을 관측한 기간 중 수집 된 8일간 평균치와 월평균치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였다(Table 1).

Table 1. (Color online) In situ and remote sensing data in the research.

Instrument Specification Collecting time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T1-1.jpg ∙Operation : ROK NIMS
∙Sampling cycle : one day
∙Measurement
:Vertical temperature (°C) and Salinity (psu)
∙Releasable web link
: http://argo.nimr.go.kr
∙Summer :Jul. ~ Nov.2018
∙Winter :Dec.2018 ~ Mar.2019
ARGO float (UMS)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T1-2.jpg ∙Operation : USA NASA
∙Sampling cycle : 8day
∙Measurement
: Sea surface salinity (psu)
∙Releasable web link : http://www.remss.com
SMAP (Satellite)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T1-3.jpg ∙Operation : USA NASA
∙Sampling cycle : 8day
∙Measurement
: Sea surface temperature (°C)
∙Releasable web link : https://oceancolor.gsfc.nasa.gov
Aqua (Satellite)

SMAP 위성은 Aqua 위성과 달리 별도의 자료 보정이 요구된다. 동 위성은 해수로부터 방사되는 L-Band 극초단파 계열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SSS를 관측하므로, 일반 광학 위성과 달리 구름 차폐의 영향을 적게 받는 가운데 한반도 연안의 해양감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18] 그러나, 육지로부터 30 km 이내에서 관측된 자료의 경우 도심지역에서 방사되는 L-Band 계열의 통신기기 전파로 인하여 자료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특징이 있으므로,[18] 이러한 부분은 자료의 신뢰도 유지를 위하여 제거하였다.

UMS 및 위성 자료의 가시화 및 분석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독일 해양과학 연구기관인 (Alfred Wegener Institute, AWI)에서 개발한 Ocean Data View[19]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RGO 플로트와 SMAP 위성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황해의 하계 및 동계 절 XBT관측 정확도 저하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이 해양환경인 저염분 및 수온 역전 발생 위치와 시기를 식별하고 맞춤형으로 UMS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XBT관측 정확도 저하 요인 파악을 위하여 ARGO플로트 관측 자료인 수온과 염분 중 염분을 XBT 운용을 가정한 고정 염분과 CTD 운용을 가정한 관측 염분값으로 구분 적용하여 Medwin[5]의 공식을 기반으로 Eqs. (1)과 (2)에서 각각 다른조건의 SSP인CXBTCCTD를 계산하였다.

$$\begin{array}{l}C_{XBT}=1449.2+4.6T-0.055T^2+0.00029T^3\\\;\;\;\;\;\;\;\;\;\;\;\;\;+(1.34-0.010T)(S_f-35)+0.016D.\end{array}$$ (1)

Eq. (1)의CXBT는 고정된 염분(Sf, psu)을 적용한 SSP (m/s),T는 해수의 온도(°C),D는 깊이(m)이며, 고정 염분값Sf는 미 해양대기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에서 생산한 전세계 해양환경 개황자료인 (World Ocean Atlas 2013, WOA13)[20]을 통하여 도출된 황해 중부해역 연평균 염분치인 33.0 psu를적용하였다. 또한, Eq. (2)의CCTD는 관측염분(SM,psu)을 고려한 해수의 SSP(m/s)로 본 계산의 입력 변수인 TDCXBT계산에 적용되는 변수와 동일하나SM은 ARGO플로트에서 측정된 염분자료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begin{array}{l}C_{CTD}=1449.2+4.6T-0.055T^2+0.00029T^3\\\;\;\;\;\;\;\;\;\;\;\;\;\;+(1.34-0.010T)(S_M-35)+0.016D.\end{array}$$ (2)

SLD는 해군의 능동소나 운용에 맞는 기준을적용하여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CXBTCCTD의 비교에 초점을 두었으므로 표층(0 m) 음속과 동일한 음속을 갖는 최대 심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III. XBT 음속 계산 정확도 저하 요인

하계 절 저염분수 확산에 의한 음속 편차를 고찰하기 위하여 황해중부해역에서 활동한 2901781번 ARGO 플로트(Fig. 1의 검정색 궤적)로부터 입수된 심도별 수온 및 염분 자료를 시계열로 표출한 결과 8월 18일~9월 11일까지 30.5 psu 이하의 이상 저염분 현상이 0 m ~ 25 m에서 관측되었다(Fig. 2).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2.jpg
Fig. 2.

(Color online) Time series of vertical structure of (a) temperature and (b)salinity in 2901781 ARGO float.

저염분 현상이 고조된 9월 5일 관측 자료에서 입수된 수온 및 염분을 바탕으로 CXBTCCTD를 비교한 결과 20 m ~ 50 m 사이에서 심도별 염분이 급격히 변화하는 가운데 CCTDCXBT 보다 저층으로 향할수록 급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Fig. 3b). 또한, 표층에서 30.16 psu의 저염분 특성으로 인하여 CCTD가 평균 염분 개황 값 33.0 psu을 적용한 CXBT 에 비해 최대 3 m/sec의 편차를 나타내었다(Fig. 3c). 이러한 편차로 인하여 CXBT에서는 식별되지 않는 SLD가 CCTD의 수심 22 m에서 표층 보다 0.62 m/s 높은 음속으로 식별된 것으로 판단된다(Fig. 3c). 이와 관련하여 하계 절 제주 서방에서 개황보다 염분이 3 psu 이상 낮은 저염분수가 발생 시 수온변화량 –0.01 °C/m, 염분 변화량 0.2 psu/m인 심도에서 SLD가 형성 된 것으로 연구되었으며,[21] 금번 연구 결과에서도 SLD22 m에서 수온변화량 –0.003 °C/m, 염분변화량 0.27 psu/m로 염분의 수심별 급격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동일 수심에서 1 psu 의 염분 편차가 약 1.4 m/s의 음속편차[6]를 나타낼 수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표층 염분이 평균 개황보다 낮은 형태로 편차가 많이 나타나는 환경에서 XBT를 활용 시 음속 산출의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SLD의 식별이 어려움을 알 수 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3.jpg
Fig. 3.

(Color online) Vertical profile of (a) temperature (blue line with circle) and salinity (red line with circle), (b) salinity and CXBT (green line), CCTD (green line with diamond) on September 5, 2018 of 2901781 ARGO float, (c) subsurface structure of salinity and CXBT, CCTD for the same profile.

만일 이처럼 염분의 측정 및 개황값의 차이를 미리 확인하지 못한 가운데 XBT로 음속을 산출할 경우 해군의 능동소나 운용 간 SLD 형성에 따른 표층 탐지환경 변화를 사전에 예측하지 못할 수 있다.[2]

다음은 NASA의 SMAP 위성 염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30.5 psu 이하 저염분수 이동 특성을 추적하였다. ARGO 플로트가 최초 투하 후 활동한 2018년 7월 25일~8월 2일 동안(Fig. 4b의 붉은색 궤적 참조) SMAP 위성으로부터 30.5 psu 미만의 저염분수가 제주 서북방에서 넓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g. 4b). 그 이전인 7월8일 ~ 16일 관측된 8일간 평균 SSS를 보면 중국 양쯔강으로부터 30.5 psu 미만의 저염분수가 유출되어 제주 서북방 외해로 확장되는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Fig. 4a의 백색 등염분선 참조).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4.jpg
Fig. 4.

(Color online) Horizontal distribution of 8 day averaged SMAP SSS : (a) July 8 ~ 16, 2018, (b) July 25 ~ August 2, 2018, (c) August 27 ~ September4, 2018, (d) September 13 ~ 21, 2018. Red trajectory on each figures is the locations of 2901781 ARGO float during the observation of SMAP.

30.5 psu이하의 저염분수가 양쯔강에서 제주도 서방까지 형성되는 원인이 초기에 양쯔강에 기원을 둔 30 psu 미만의 담수가 외해로 확장하면서 희석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8], [9] Fig. 4b에서 관측된 30.5 psu이하의 저염분수는 양쯔강에 기원을 둔 수괴로 볼 수 있다. 이처럼 SMAP에서 탐지된 저염분 수괴가 황해 중부해역으로 북동진함에 따라 ARGO 플로트 상에서도(Fig. 4c의 붉은색 궤적 참조) 30.5 psu 미만의 저염분수가 최대 24 m 깊이까지 관측(Fig. 2b의 백색 등염분선 참조)되었고, 이후 SMAP 및 ARGO플로트 상에서 저염분수가 소멸하는 것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다(Fig. 4d). 따라서, XBT 기반의 음속 정확도 저하 요인이 양쯔강 기원의 저염분수 확장에 기인함 을 UMS와 위성 관측자료의 동시 운용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은 동계 절 수온역전 현상에 의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8년 12월 17일 부터 황해 중부 흑산도 근해에서 활동한 2901786번 ARGO 플로트(Fig. 1의 파란색 궤적)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 분포를 시계열별로 가시화 하였다(Fig. 5).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5.jpg
Fig. 5.

(Color online) Time series of vertical structure of (a) temperature and (b) salinity in 2901786 ARGO float, black colored bold isohaline of 33psu in (b) represents the salinity during temperature inversion event.

Fig. 5a에서 표층보다 높은 수온의 해수가 해저 면에 분포하는 수온 역전이 2019년 1월 31일~3월3일 간 연속적으로 식별되었는데, 이때 염분 33 psu 및 수온 11.5 °C 이상의 수치로 표층과 저층에 걸쳐 형성되어 있었다(Fig. 5b). 이와 같이 수온역전을 동반하는 가운데 수직 수온과 염분이 시‧공간적으로 복잡하게 분포하는 경우 XBT를 이용한 음속 계산 시 음파전달 예측의 신뢰도 유지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13] 사전에 그 위치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온역전에 의한 XBT 기반 음속 정확도의 저하는 2019년 2월 19일 수집된 수직 수온, 염분 및 SSP를 통하여 알 수 있는데 CCTDCXBT는 표층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Fig. 6b), 수온역전이 시작되는 심도인 40 m부터CCTDCXBT보다 최대 1.3 m/s까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Fig. 6c). 이는 저층으로 내려갈수록 수심 30 m ~ 50 m 사이에서 수온이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염분도 0.8 psu 만큼 급증하여 개황치보다 1 psu 높은 34 psu로 나타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Fig. 6a).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6.jpg
Fig. 6.

(Color online) Vertical profile of (a) temperature(blue line with circle) and salinity(red line with circle), (b) salinityand CXBT(green line), CCTD(green line with diamond), (c) bottom structure of salinity and CXBT,CCTD on February 19, 2019 of 2901786 ARGO float.

이와 관련하여 황해에서 열 염분 전선의 규모에 따라서 수온 역전이 발생 가능한 것으로 연구된 바가 있으며,[11] 이를 뒷받침 하는 열염분 전선의 형성 조건이 SST 2 °C/100 km이상, SSS 0.5 psu/100 km 이상인 것으로 연구되었다.[22] 금번 연구 결과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수온 및 염분의 수평 변화가 나타났는데, Fig. 5a에서 수온 역전이 연속으로 발생했던 2901786번 ARGO 플로트의 2019년 2월 관측 궤적에서(Fig. 7의 붉은색 점선 참조) 동년 2월 평균 Aqua 위성 SST는 4.1~4.8 °C/100 km, (Fig. 7a), SMAP 위성 SSS는 1.27~1.82 psu/100 km의 수평 변화가 나타났다(Fig. 7b). 동시간대 수집된 UMS와 위성관측결과로 미루어볼 때 특정 범위의 열염분 전선을 통하여 수온 역전 발생 위치를 추정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7.jpg
Fig. 7.

(Color online) Horizontal distribution of monthly averaged (a) NASA Aqua SST, (b) SMAP SSS on February, 2019, red trajectory represents 2901786 ARGO float activity during February, 2019 of the total trajectory (gray).

Fig. 8은 ARGO 플로트의 시계열 수직분포(Fig. 5)에 대하여 X축 단위를 날짜가 아닌 남북(meridional) 방향의 거리로 변경 후 재가시화 하여 열 염분 전선에서의 수온 역전 발생 여부에 대하여 검증한 것이다. 가시화 결과에 따르면, 표층수온 변화량이 위도 33.5 °N에서 3.9 °C/100 km이고염분은 2.2 psu/100 km로 수온역전 현상이 발생한 열염분 전선 조건(2 °C/ 100 km이상, 0.5 psu/100 km 이상)[22]을 충족하였다(Fig. 8). 물론 ARGO 플로트와 위성 관측결과를 비교해 볼 때 표층 수온 및 염분의 변화량이 근소한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수온역전 발생조건에 해당되는 점과 위성자료의 경우 월평균값임을 고려하면 된다. 한편, ARGO 플로트 관측 결과를 통해 표층 수온만으로는 수온 역전 추정이 제한됨을 알 수 있는데, 35.5 °N~35 °N에서 수온 전선이 2 °C/100 km 이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수온 역전이 형성되지 않은 것은 염분의 수평 변화가 0.5 psu/100 km 이하로 위의 열염분 전선 형성 조건을 충족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Fig. 8). 동계 절, 제주도 인근의 고온‧ 고염분의 해수가 상대적으로 저온‧저염분인 황해 중부해역의 해수와 전선을 형성한 가운데 북쪽으로 관입하는 과정에서 저층이 상층보다 수온과 염분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연구된바 가 있는 점[11], [22]으로 미루어 볼 때 Fig. 8에서 33.5 °N부터 해저를 따라 북쪽으로 형성된 고온‧고염의 해수도 이와 유사한 과정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33.3 °N의 고온‧고염의 해수가 근원이 되어 시작되었음을 고려해 볼 때 동계 절 수온 역전의 발생 위치를 인공위성 SST와 SSS에 의한 열 염분 전선의 식별을 통하여 추정 가능함을 알 수 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8.jpg
Fig. 8.

(Color online) Meridional structure of vertical (a)temperature and (b)salinity in 2901781 ARGO float in the same duration of Fig.5. Black dashed line represents the isohaline of 33.0psu indicating the location of temperature inversion effect appeared on Fig.5.

IV. 황해 수중음속 산출 방안

2018년~2019년황해에서 활동한 2개의 ARGO플로트와 Aqua, SMAP 위성 자료의 비교분석으로 확인된 XBT에 의한 SSP 정확도 저하 요인(하계 절 표층 저염분, 동계 절 수온 역전)을 바탕으로 정확한 SSP 산출에 사용되는 CTD센서가 탑재된 UMS의 투입 시기 및 위치를 결심하기 위한 운용방안을 흐름도(flow chart)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Fig. 9). 본 흐름도는 장기간 UMS 운용에 따른 위험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황해에서 위성 SST, SSS을 바탕으로 음파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저염분 및 수온 역전 발생 위치를 조기에 식별하여 UMS의 투입/회수 시기 및 운용 장소를 제시한다(Fig. 9). 본 흐름도에 표현된 UMS는 원격 조종하에 이동하면서 수심별 수온‧염분 관측이 가능한 수중 글라이더 등 모든 수중 무인자산을 포함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ask/2019-038-06/N0660380601/images/ASK_38_06_01_F9.jpg
Fig. 9.

A Flow Chart to estimate accurate SSP in the Yellow Sea.

본 흐름도는 Aqua 및 SMAP 위성으로부터 획득된 SST, SSS의 감시를 통한 특이 해양현상 징후의 파악으로 시작되는데, 하계 절(6월 ~ 9월)의 경우 SMAP 위성 SSS상으로 30.5 psu 이하의 저염분수가 황해 전반으로의 확장이 식별 되면 해당구역에 UMS를 투입한다. 이후 UMS관측 결과로CXBT가 아닌CCTD에서만 SLD가 발견될 시 30.5 psu 이하의 저염분수가 소멸할때까지 일일 UMS 관측 횟수(일일 자료 수집 횟수)를 증대시키고 UMS 관측자료를 SSP계산에 활용하는 것이다. 동계 절(11월 ~ 3월)의 경우도 최초 징후 파악에 SST와 SSS를 활용하며, 2 °C/100 km, 0.5 psu/100 km 이상 수온 및 염분의 수평구배가 식별되면 해당 구역에 UMS를 투입한다.

UMS 관측 결과 수온역전이 빈번하게 형성되고 저층에서 CCTDCXBT보다 높게 산출되면 하계 절과 마찬가지로 UMS자료를 SSP계산에 활용하고 일일 UMS관측횟수를 증대시킨다(Fig. 9). 동‧하계 절 모두 저염분 또는 수온 역전 징후가 사라지면 UMS 운용을 중지하고 회수한다.

V. 결 론

황해에서 연중 나타나는 하계 절 저염분 확산 및 동계 절 수온 역전 현상 발생해역에서 XBT를 측정 시 SSP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는 요인을 국립기상과학원 ARGO플로트, NASA의 Aqua 위성 SST와 SMAP 위성 SSS 관측 결과물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하계 절 양쯔강에 기원을 둔 30.5 psu 이하의 표층 저염분수가 황해 중부해역으로 확장 시,[8], [9] 그리고 동계 절 SST 2 °C/100 km, SSS 0.5 psu/100 km 이상의 구배를 갖는 열 염분 전선[22]에서 수온 역전이 발생할 때 XBT 관측자료 기반의 SSP 추정 정확도가 저하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황해에서 위의 두 가지 환경 조건을 가정하여 UMS를 이용한 적시 적이고 정확한 SSP 산출을 위한 방안을 제안 하였다[1. 하계 절 30.5 psu 이하의 저염분수의 황해 인근 해역으로의 확장 또는 동계 절 열 염분전선 발생 여부의 식별(NASA Aqua 위성 SST 및 SMAP 위성 SSS 이용), 2. 식별된 저염분수 또는 열 염분 전선 형성 구역에 CTD센서가 탑재된 UMS 투입으로 XBT관측시 SSP의 정확도의 저하(하계 절 SLD 식별 불가 및 동계 절 수온 역전 형성에 따른 저층 SSP의 비정상적 증가 미입수)가 확인될 시 XBT 대신 UMS 관측 자료로 SSP 추정 및 일일 UMS관측횟수 증대 3.저염분 및 수온 역전 미형성 시 UMS 회수].

본 방안은 황해에서 염분의 변화폭이 심하여 수중 음속에 영향을 미치는 특이 해양현상(저염분, 수온 역전) 발생 시기 및 위치를 식별하고 천해에서 장기간 운용에 부담이 될 수 있는 CTD 탑재형 UMS에 대한 적절한 투입 기간과 운용 구간을 제시하여 필요에 따라 정확한 SSP 추정이 가능하도록 운용개념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또한 SST 및 SSS의 경우 인터넷에 공개된 자료를 사용하므로 UMS 운용 외에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이 없으며, UMS를 인터넷으로 원격 통제 시 현장에 장기간 선박을 투입하는 노력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은 해군과 같이 XBT가 주로 운용되는 조건을 전제로 한 것으로 능동소나 운용환경 예측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염분의 변화가 수중음속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해역에서 해군이 작전할 경우Expandable CTD (XCTD)나 Expendable Sound Velocimeter(XSV)를 사용하면 XBT 보다 수중 음속 추정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4] XCTD와 XSV는 국내외에서 이미 사용 중인 장비로 UMS 보다 경제적이고 자료획득이 용이하여 실시간 현장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인터넷상에 공개된 국립기상과학원(ARGO 플로트 자료)과 미항공우주국(SST, SSS)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수행되었다.

References

1
R. J. Urick, Principle of Underwater Sound, 3rd Ed.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1983), pp. 114.
2
S. Lim,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the sonic layer depth and the mixed layer depth in the East Sea" (in Korean), J. Korea Inst. Inf. Commun. Eng. 19, 1259-1268 (2015).
10.6109/jkiice.2015.19.5.1259
3
What is an Expendable Bathythermograph, or "XBT"?, https://oceanexplorer.noaa.gov/facts/xbt.html/, (Last viewed September 8, 2019).
4
C. D. Tollefsen, "Recommendations for calculating sound speed profiles from field data," Defence R&D Canada - Atlantic, Tech.Rep., 2013.
5
H. Medwin, "Speed of sound in water: A simple equation for realistic parameters," J. Acoust. Soc. Am. 58, 1318-1319 (1975).
10.1121/1.380790
6
Tutorial: Speed of Sound, https://dosits.org/tutorials/science/tutorial-speed/, (Last viewed January 31, 2019).
7
Calculated Sound Speed,http://turo.com.au/index.php/2-uncategorised/6-calculated-sound-speed/, (Last viewedJanuary 31, 2019).
8
H. J. Lie, C. H. Cho, J. H. Lee, and S. Lee, "Structure and eastward extension of the Changjiang River plume in the East China Sea," J. Geophys. Res.108, 22 (2003).
10.1029/2001JC001194
9
K. H. Oh, J. H. Lee, S. Lee, and I. C. Pang, "Intrusion of low - salinity water into the Yellow Sea Interior in 2012," Ocean Sci. J. 49, 343-356 (2014).
10.1007/s12601-014-0032-7
10
J. Hao, Y. Chen, and F. Wang, "Temperature inversion in China Seas," J. Geophys. Res.115, 1-12 (2010).
10.1029/2010JC006297
11
H. J. Lie, C. H. Cho, and K. T. Jung, "Occurrence of large temperature inversion in the thermohaline frontal zone at the Yellow Sea entrance in winter and its relation to advection," J. Geophys. Res. 120, 417-435 (2015).
10.1002/2014JC010653
12
J. Kim, T. Bok, D. Paeng, I. Pang, and C. Lee, "Acoustic channel formation and sound speed variation by low-salinity water in the western sea of Jeju during summer" (in Korean), J. Acoust. Soc. Kr. 32, 1-13 (2013).
10.7776/ASK.2013.32.1.001
13
S. H. Kim, B. N. Kim, E. Kim, B. K. Choi, and D. S. Kim,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inversion layer on underwater sound propagation in the East China Sea," Jpn. J. Appl. Phys. 56, 07JG05 (2017).
10.7567/JJAP.56.07JG05
14
Slocum G3 Glider, http://www.teledynemarine.com/slocum-glider, (Last viewed September 8, 2019).
15
Argo, http://www.argo.ucsd.edu/, (Last viewed January 14, 2019).
16
Aqua Earth-observing Satellite Mission, https://aqua.nasa.gov/, (Last viewed January 14, 2019).
17
SMAP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https://smap.jpl.nasa.gov/, (Last viewed January 14, 2019).
18
T. Meissner, F. Wentz, and A. Manaster, "NASA/RSS SMAP salinity: Version 3.0 validated release," Remote Sensing Systems, Santa Rosa, CA, Tech. Rep., 1-30, 2018.
19
R. Schlitzer, Ocean Data View, http://odv.awi.de/, (Last viewed January 14, 2016).
20
M. M. Zweng, J. R. Reagan, J. I. Antonov, R. A. Locarnini, A. V. Mishonov, T. P. Boyer, H. E. Garcia, O. K. Baranova, D. R. Johnson, D. Seidov, and M. M. Biddle, "World ocean atlas 2013, volume 2: Salinity," S. Levitus, Ed., A. Mishonov Technical Ed.; NOAA Atlas NESDIS, Tech. Rep., 2013.
21
H. Kim, J. Kim, and D. Paeng, "Analysis of surface sound channel by low salinity water and its midfrequency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Gulf of Guinea" (in Korean), J. Acoust. Soc. Kr. 34, 1-11 (2015).
10.7776/ASK.2015.34.1.001
22
S. Park and P. C. Chu, "Thermal and haline fronts in the Yellow/East China Seas: surface and subsurface seasonality comparison," J. Oceanogr. 62, 617-638 (2006).
10.1007/s10872-006-0081-3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